잊을만 하면 터지는 농협비위 ‘근절 방안 없나?’
잊을만 하면 터지는 농협비위 ‘근절 방안 없나?’
  • 최현웅 기자
  • 승인 2019.02.20 13: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치권 못지않은 비위·비리 온상지로 전락
감시 견제할 제도적 보완 장치 마련 시급

제2회 전국 동시 농수축협조합장선거를 앞두고 조합 비리에 대한 제보가 잇따르는 등 잊을 만하면 되풀이되며 터지는 이들 조합에 대한 비위를 근절할 방안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지난 13일 경기도 남양주축협 전·현직 감사들은 “조합 임원들이 2016년 11월 제주도 워크숍에서 저녁식사 뒤 유흥주점에서 술값으로 315만 원을 쓴 뒤 접대 여성과 2차(성매매)를 나갔다”고 폭로했다는 언론매체의 보도가 나왔다. 이들 임원들은 지난해 9월에도 같은 유흥주점서 220만 원을 결재하는 등의 비위가 있었다고 밝혀 이들의 비위행위가 하루 이틀에 일어난 실수가 아니었음이 드러났다.

이뿐만이 아니다. 지난달에는 함평농협 조합장과 임직원 일행이 2017년 1월 베트남 다낭으로 해외연수를 다녀오는 과정에서 현지여성과의 성매매 의혹이 불거져 전남지방경찰청이 수사에 착수하기도 했다.

이처럼 농수축협 내부 비위가 끊이지 않고 터지고 있지만 이를 견제하고 감시할 제도적 보완이 시급함에도 현재로선 마땅한 규제나 장치가 전무하다. 농협은 1천만 농민들이 조합원이다. 하지만 조합원이 주인이 아니라 농협 자체조직과 직원을 위한 기형적 형태로 변질되어 온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농수축협은 매년 수익금을 특별회계를 통해 농민과 조합원들에게 수익을 배분하라고 공문 등을 통해 내려 보내지만 이들 돈을 대부분 농협 임원들과 직원들의 성과급으로 돈 잔치를 벌이고 있지만 이를 감시하고 견제할 체계마저 없다는 지적이다.

 

조합장, 억대 연봉 대기업 임원 같은 지위

지난주 광주방송이 탐사보도를 통해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광주·전남지역 농협 10여 곳 중 조합원들에게 정산금을 환원한 조합은 불과 2곳도 안된 것으로 조사돼 충격을 주고 있다.

이 조사에 따르면 광주지역의 한 농협은 지난 2018년부터 직원들 임금이 평균 14% 뛰었고 2년 뒤 다시 8%의 임금상승이 있었다. 그러다 조합장 선거를 앞둔 올해는 무려 25%가 상승했다. 또 다른 농협은 연차휴가 보상금으로 직원 한 명당 평균 740만 원이 넘게 받아갔다.

또 다른 농협 직원은 50일 이상 되는 연월차 수당으로 많게는 최대 2천 8백만 원 가까이 수령했다.

농협의 주주는 농민. 이들 농민들의 평균 소득이 3천 8백만 원 수준인데 반해 지역 단위 농협 직원들 평균 연봉은 6천만 원. 많은 곳은 7천 8백만 원에 이르고 있다.

이들 직원뿐 아니라 조합장 선거에 당선된 조합장들의 연봉은 대게가 억대 안팎이다. 연봉 외에도 조합의 경영·인사·채용 등 막강한 권한을 행사한다. 기초의회 의장을 그만두고 농협 조합장에 출마할 정도로 매력적인 직업이라고 한다. 권한이 크다 보니 각종 비리·범죄에 연루되고 조합을 사유화하는 등의 도덕적 해이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으로 손꼽히는 대목이다.

농협의 주인이 조합원이 아니라 농협임직원이 되어버렸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어 보인다.

그래서 그런지 올해도 벌써 설 연휴까지 중앙선관위에 접수된 불법사례가 95건에 이를 정도로 벌써부터 과열 혼탁의 조짐이 일고 있다. 앞서 조합장 동시선거가 처음 치러진 2015년에는 전국에서 867건의 불법사례를 접수했는데 이 가운데 40% 이상이 전부 금품수수와 관련된 사례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